서울대, 기업대상 첫 기술설명회 

강호갑 회장 등 200여명 참석 
첨단 나노·바이오 기술 관심…교수·기업인간 기술상담도 

기업들 "대학이 적극 나서 히든 챔피언으로 키워달라"

 

17일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열린 ‘한국중견기업연합회-서울대 기술 매칭 콘퍼런스’에서 최수규 중소기업청 차장(앞줄 왼쪽 세 번째부터), 강호갑 중견련 회장, 성낙인 서울대 총장, 김상면 자화전자 회장 등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서울대 제공

17일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열린 ‘한국중견기업연합회-서울대 기술 매칭 콘퍼런스’에서 최수규 중소기업청 차장(앞줄 왼쪽 세 번째부터), 강호갑 중견련 회장, 성낙인 서울대 총장, 김상면 자화전자 회장 등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서울대 제공

 

서울대가 개교 이래 처음으로 중견기업인들을 초청해 자체 개발 기술을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다. 


17일 서울대 관악캠퍼스 내 호암교수회관 삼성컨벤션센터에서는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와 서울대의 공동 주최로 ‘중견련-서울대 기술매칭 콘퍼런스’가 열렸다. 강호갑 중견련 회장을 비롯해 중견기업 최고경영자(CEO) 40명 등 200여명의 기업인들이 서울대를 찾았다. 

이날 행사는 서울대가 지난 6월 먼저 제안해 성사됐다. 박종래 서울대 기술지주회사 대표(재료공학부 교수)는 “대학이 그동안 많은 논문을 써내고 특허도 출원했지만 대부분이 사업화로 이어지지 못하고 사장돼 아쉬움이 컸다”며 “자체 연구기반이 탄탄한 대기업이나 필요 기술수준이 초보적인 중소기업보다는 중견기업에서 대학 보유 기술에 대한 수요가 클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중견련은 크게 환영했다. 강 회장은 “그렇지 않아도 연구개발(R&D) 인력과 기술 확보에 목마른 중견기업들에 무척 유익한 일이 될 것 같아 곧바로 화답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서울대가 공대 건물 일부를 중견·중소기업에 내주는 계획을 세운 것도 굉장히 잘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발표회에는 바이오·의료, 정보기술(IT)·융합, 나노·신소재 등 분야별 우수·혁신 기술을 개발한 15명의 교수들이 참석했다. 발표 후엔 교수와 기업인 간 기술 상담 자리도 마련됐다. 

중견기업 CEO들은 대학이 보유한 첨단 기술에 큰 관심을 보였다. 김상근 상보 회장은 “디스플레이 필름에 쓰이는 소재와 관련된 나노기술에 주목하고 있다”며 “마음에 드는 기술이 보이면 바로 계약할 의사가 있다”고 말했다. 이준혁 동진쎄미켐 사장도 “반도체 재료 등에서 기술 이전 계약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우오현 삼라마이다스(SM) 그룹 회장은 “신사업 진출을 위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바이오 등 신기술 동향을 살피고 있다”고 말했다. 

대학이 산학협력에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당부도 잊지 않았다. 김상면 자화전자 회장은 “대학들이 기업과 함께하는 기술 사업화에 좀 더 신경을 써 줬으면 좋겠다”고 지적했다. 강 회장은 “R&D 투자 비율이 세계 최고 수준인 한국 대학에서 연구 결과물이 사업화로 연결되는 사례는 좀처럼 없다”며 “부디 대학들이 중견기업을 글로벌 경쟁력을 갖는 ‘히든챔피언’으로 키워내는 데 도움을 주길 부탁한다”고 말했다. 

교수들도 기업인들과의 만남에 흡족해했다. 무선전력전송기술을 활용한 휴대용 무선 스마트폰 배터리를 시연한 이정우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그동안 연구 성과의 상용화에 참여할 기업을 찾는 데 개인 인맥에 의존하는 등 어려움이 많았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관심을 보이는 기업을 쉽게 만날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다.

 

성낙인 서울대 총장은 “지난주에 중국 베이징대와 칭화대 등을 방문해 캠퍼스 내에 구글 등 수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입주한 모습을 보고 감명을 받았다”며 “오늘 행사를 계기로 미래세대를 위한 산학협동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최수규 중소기업청 차장은 “중견기업과의 만남을 서울대가 먼저 제안해 더 뜻깊었다”며 “정부도 앞으로 이런 행사가 계속 열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Date
1 [ET대학포럼]〈47〉탄소소재산업 진흥, 탄소중립 실현과 수소경제 활성화의 돌파구 file 2021-12-01
2 박종래 교수님,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운영준비위원회 위원 위촉 file 2020-06-19
3 효율적인 고성능 CNT fiber 합성법 개발 (Nature communications) file 2019-07-04
4 KTV <다니엘의 더 스마트한 세상> 3 file 2018-07-11
5 저서 Lithium-ion Batteries 통산 다운로드 수 4만회 달성 1 file 2018-02-21
6 2016 Chemistry of Materials Most Read Article 선정 3 file 2016-12-06
7 중앙일보 - [탄소섬유탄(하)] 북핵시설 가동중단 ‘전기 스위치’ 개발 중 전력공급만 차단, 사람은 죽이지 않는 &lsquo;비살상 무기&rsquo; 정전으로 적에게 충격과 공포, 심리적 효과를 극대화 유도무기에 탑재해 원거리 공격 가능하도... 6 2016-11-28
8 중앙일보 - [‘강제정전’ 탄소섬유탄(상)] 핵심시설 마비시켜 전쟁 승리 미 해군, 1985년 훈련 중 실수로 발견한 &lsquo;정전폭탄&rsquo; 사고는 은폐하고 극비리에 개발 진행 1991년 걸프전 첫 사용, &#39;99년 유고슬라비아 내전 본격... 2 2016-11-24
9 2015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Hot Paper 선정 9 file 2016-03-23
10 박종래 교수, 그래핀 옥사이드의 산화 메커니즘에 대한 규명 15 file 2016-03-11
11 YTN 사이언스 - 미세먼지 속 탄소의 재발견 3 file 2016-03-01
12 오준영 연구원 SPE KOREA Award 수상 6 file 2015-11-20
» [한국경제] "R&D인력·기술 확보 목마르다"…서울대 찾은 중견기업 CEO들 서울대, 기업대상 첫 기술설명회 강호갑 회장 등 200여명 참석 첨단 나노&middot;바이오 기술 관심&hellip;교수&middot;기업인간 기술상담도 기업들 &quot;대학이 적극... 2015-11-18
14 [산학협력정책 Brief] '연구중심대학 - 마르지 않는 창조의 샘, 창조경제의 핵으로 거듭나야' file 2015-10-28
15 황 복합재료 탄소 매트릭스의 표면 기능기 도입을 통한 안정한 리튬-황 전지 개발 2 file 2015-07-31
16 탄소섬유 - 철을 대체할 꿈의 소재 file 2015-05-12
17 [동아일보 특집기사] 전문가 좌담 - 소재부품 산업이 가야 할 길 [소재부품 强國으로] 뚝심으로 일군 ‘1000억 달러 흑자’, 이젠 첨단화·차별화다! 전문가 좌담 / 소재부품 산업이 가야 할 길 3일 서울 강남구 한국기술센터에서 ... 2015-02-11
18 서울대동창회보 442호 - "동문을 찾아서" 모교 기술지주회사 박종래 대표  - 전임 洪國善대표의 별세로 조금은 갑작스레 대표직을 맡게 되셨다고 들었습니다. 8개월가량 지났는데, 어떠신가요.  “여기 와서 일을 해보니 洪國善교수가 ... 9 2015-01-15
19 탄소나노튜브의 자기조립거동을 이용한 고강도 필름 개발 4 file 2015-01-14
20 2015 신년회 지난 1월 10일, 교수님과 사모님을 모시고 CNDL 현 멤버와 졸업생들이 두루 참석하여 신년회 모임을 가졌습니다. 3 file 2015-01-10
Board Pagination ‹ Prev 1 2 Next ›
/ 2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