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임 洪國善대표의 별세로 조금은 갑작스레 대표직을 맡게 되셨다고 들었습니다. 8개월가량 지났는데어떠신가요.

 여기 와서 일을 해보니 洪國善교수가 얼마나 훌륭한 분이셨는지또 얼마나 엄청난 일을 해 오셨는지 새삼 느끼게 됐습니다대표직을 맡으면서 이 세계의 용어와 문법을 익히는 일이 급선무였는데이젠 어느 정도 익숙해졌습니다.”


 기술지주회사가 출범한 지도 벌써 6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잘 모르는 동문들이 많습니다.

 사실 오늘 인터뷰에 응한 것도 기술지주회사에 대해 동문님들께 좀 더 알려드리고자 하는 이유가 컸습니다한마디로 기술지주회사는 교수연구원직원 등 모교 구성원들이 창출해 낸 지식가치를 수익가치로 창출해 내는 일을 하는 조직입니다산학협력단 산하의 지식재산관리본부에서 기술이전기술관리계약법제의 업무를 주로 하고 있는데우리는 그중에서도 기업들이 좀 더 관심을 두는 특허에 대해 기업과 협의를 해서 새로운 벤처회사 및 자회사를 설립하는 것이죠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그 수익이 다시 학교에 유입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내는 것이 우리의 역할입니다.”


 지난해 11월 창업지원 서바이벌 프로그램인 `비 더 로켓'을 시작했는데현재 진행 사항은 어떤가요.

 현재 창업 벤처를 발굴해 교육하는 프로그램은 많이 나와 있지만서울대만의 특화된 창업보육 모델의 프로그램을 만들어 전국 대학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해서 시작하게 됐습니다. `비 더 로켓'은 `케이(K) 벤처 모델'로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새롭게 출범시킨 실험적인 프로그램입니다단순히 창업 아이디어를 공모해 심사하는 데 그치는 다른 프로그램과 달리 실질적으로 시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응모 조건으로 실시했습니다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과정을 심사해 최종적으로 3팀을 선발해 시장에 제품을 내보일 계획입니다. 161개 팀 중 12차 심사를 통해 현재 6개 팀이 경합 중입니다.”


 창업에 성공을 하게 된다면 수익 배분은.

 비 더 로켓은 앞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저희가 실험적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수익 배분과 관련해 나누는 것이 없습니다. 2차 심사를 통해 선발된 팀들에 대해선 사무공간은 물론 숙식도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향후 창업에 성공했을 때 따로 금전적으로 요구하는 것은 없습니다그러나 이번 실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장기적으로는 수익이 학교로 다시 유입될 수 있도록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가야겠죠.”


 출범 당시 2017년까지 50여 개의 자회사 설립 계획을 세웠는데현재 어느 정도 도달했는지요.

 학교가 20% 이상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회사를 자회사로 분류하고 있는데특히 저희는 서울대학교의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전제로 자회사를 설립하고 있습니다현재 24개의 자회사를 운영하고 있으며이 중에서 3분의 정도는 좀 더 집중해서 키운다면 좋은 성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술지주회사 등을 두고 학교가 비즈니스를 한다고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은 없나요또 벤처 관련 일을 하면서 한국의 기업 생태계에 대해 어떻게 느끼셨는지요.

 초기에는 공공섹터에 왜 이익 관련 사업이 들어오느냐는 시각이 있었던 게 사실이지만 지금은 오히려 격려하는 분들이 많습니다미국 기업의 활력을 얘기할 때 실리콘밸리를 많이 얘기하는데관악밸리나아가 대한민국 밸리가 조성됐으면 하는 게 바람이고그 핵심역할을 서울대가 했으면 좋겠습니다대기업들은 네트워크가 튼실하고 안정감 있지만 덩치가 커 혁신이 쉽지 않습니다벤처는 역동성과 혁신성이 있습니다우리나라에 벤처 성공 토양이 건실하지 못했던 면이 있었던 건 사실입니다큰 기업이 네트워크를 통해 기술을 빼나가거나 하는 경우도 있었고요그럼에도 대기업이 없이는 기술거래시장은 활성화될 수 없습니다점차 신뢰와 존중의 문화가 쌓이고 있고대기업도 벤처의 혁신성과 대학에서 나오는 신기술에 대해 관심을 높이면서 분위기가 좋아지고 있습니다.”


 지난 6년간 가장 성공사례라 평가하는 사업이 있다면.

 그동안 단순 기술이전으로도 연간 평균 40억원에 이를 정도의 수익을 꾸준히 내오고 있었습니다거기에 이제는 점차 단순한 기술이전이 아닌 우리 기술을 바탕으로 한 자회사를 설립해 수익성을 확대하고 있는 것이죠. `서울대'의 이름이 들어간 닭고기우유 등의 다양한 제품을 시중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질문을 드리겠습니다대학 시절 어떻게 지내셨나요.

 저는 아쉽게도 대학 생활을 재미있게 보내지는 못했습니다민주화 데모와 휴교가 반복되는 등 어려웠던 시기였고, 4년 내내 아르바이트하다가 시간을 다 보낸 것 같아요.”


 - 1997년 모교에 부임해 오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그 당시와 비교해서 연구환경 등 처우개선은 많이 됐는지요.

 많이 좋아졌습니다우리나라 전체 연구비 예산이 계속 늘어남에 따라 연구혜택을 보는 교수들도 늘어났고개인적으로 확보해오는 연구비 규모도 커졌습니다부임 당시만 해도 고가 기자재가 국내에 많지 않았는데 지금은 연구에 필요한 고가 기자재가 거의 다 있다고 보면 됩니다다만 연구공간은 과거에 비해 크게 나아진 것이 없어요건물이 많이 들어섰음에도 불구하고 교수들의 연구공간은 늘어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습니다.”

 동문들에게 바라는 점이 있다면.

 그동안 우리 동문들이 학교를 위해 많은 도움을 주셔서 건물도 새롭게 세우고 학생들에게 장학금도 많이 줄 수 있었습니다다만 이제는 지식가치에도 투자를 해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그런 의미에서 기술지주회사에 많은 관심을 둬 주시고 후원을 해주셨으면 하는 생각입니다가령 많은 교수님들이 특허를 내고 싶어도 학교 재원에는 한계가 있어서 외부 투자자를 직접 구해야 하기 때문에 기술이 사장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를 위해 투자조합이나 펀드를 조성해 유망한 특허를 출원 단계부터 지원해주셨으면 합니다수익금이 발생했을 때 그중 일부는 다시 학교 발전기금으로 기탁되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사진 邊廷洙기자·정리 林香默기자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Date
38 Nature Chemistry에 본 연구실 논문 소개 본 연구실의 박사과정 양승재 군의 최근 논문이 Chemistry of Materials에 출판됨과 동시에 Yang, S. J. et al. Preparation and enhanced hydrostability and hy... 11 file 2009-05-02
37 저탄소 녹색성장의 길에서 [대학신문] . 9 file 2009-09-13
36 양승재군 Best Poster Awards 수상 2009년도 한국탄소학회 주관 'International Green Energy Nanocarbon Conference 2009'에서 양승재 군의 'Preparation of Highly N-enriched Graphitic Carbon w... 6 file 2009-11-05
35 Particles break light-speed limit [nature] 9 2011-09-22
34 그래핀·나노튜브 기초기술 탄탄…상용화 연구로 新수요 만들어야 [한국경제] 탄소산업 발전 방안 좌담회 日도레이, 보잉과 손잡고 탄소섬유 시장 창출 고급인력 양성·고부가 기술개발 국가적 지원을 기술 상품화 못한 中企 발굴 등 급선무 24 2012-11-19
33 탄소섬유 등 6대 탄소소재 선정…'원료~소재~제품' 개발 전방위 지원 [한국경제] 5 2012-11-19
32 생방송 포커스 전북21(전주) - 탄소섬유 양산, 과제는? 박종래교수님께서 2013년 5월 15일 방영된 KBS전주의 '생방송 포커스 전북21' 프로그램에 '탄소섬유 양산, 과제는?'주제로 토론패널로서 출연하셨습니다. 5 file 2013-05-15
31 생방송 포커스 전북21(전주) - 탄소산업, 전북 성장동력으로 박종래교수님께서 2013년 9월 11일 방영된 KBS전주의 '생방송 포커스 전북21' 프로그램에 '탄소산업, 전북 성장동력으로'주제로 토론패널로서 출연하셨습니다. 4 file 2013-09-11
30 암 표적 진단용 형광 나노입자 개발 [연합뉴스] 형광나노입자 적용한 동물 모델 (대전=연합뉴스) 빛에 반응해 형광물질이 켜졌다 꺼지는 나노입자를 동물모델에 투여해 형광 조영을 실시한 모습. 한국연구재단은... 2 2013-11-07
29 강종헌군 칼라파타르(5,560m) 등정 본 연구실 석사과정 강종헌 군이 2014년 2월 11일 네팔 히말라야 쿰부히말 지역의 칼라파타르(Kala Patthar) 봉(해발 5,560m)를 등정하고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 file 2014-02-11
28 YTN사이언스 - 탄소는 창조경제를 이끄는 새로운 소재 [박종래, 한국탄소학회장] 지금 수많은 과학자들이 제주도로 몰려오고 있습니다. 탄소 소재에 관한 최신 연구들이 발표되는 세계탄소학술회의가 개최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원소들과 쉽게 ... 1 file 2014-06-25
27 YTN사이언스 - 미래 첨단소재의 주역, 탄소 [앵커] 탄소는 우리 몸을 구성하는 기본요소이자 석유의 주성분으로 인간과 자연의 근본을 이루는 물질입니다. 탄소로 만든 소재는 가벼우면서도 강한 특성을 갖... 1 file 2014-07-09
26 [MaterialsToday/Carbon] Carbon 2014 conference enjoyed by over 860 delegates The CARBON 2014 was successfully held under the theme of 'carbon materials for ubiquitous and sustainable life' at JeJu, Korea from June 29 to July 4, ... file 2014-07-15
25 YTN사이언스 - [TV 사람을 만나다] 탄소 연구의 선두주자 박종래 교수를 만나다 초경량, 초고온, 초전도, 초내마모성 고부가가치 첨단 소재. 우리의 생활 곳곳에 존재하는 탄소. 탄소로 미래를 꿈꾸다. file 2014-08-20
24 [중앙 SUNDAY] 한·미 원자력 ‘새 협정’의 조건 View. 한·미 원자력 ‘새 협정’의 조건 박종래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 | 제392호 | 20140914 입력 3 file 2014-09-14
23 그래핀 옥사이드를 이용한 기체 차단성 필름 개발 박종래 교수 연구팀은 그래핀 옥사이드 용액을 이용하여 간단한 공정을 통해 유기 태양전지의 수명을 크게 증가시켰으며, 원재료인 흑연과 분산성이 기체 차단성 ... 1 file 2014-10-01
22 KBS 긴급토론 - 사용후 핵연료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박종래교수님께서 2014년 12월 20일 방영된 KBS1의 '긴급토론' 프로그램에 '사용후 핵연료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주제로 토론패널로서 출연하셨습니다. 3 file 2014-12-20
21 2015 신년회 지난 1월 10일, 교수님과 사모님을 모시고 CNDL 현 멤버와 졸업생들이 두루 참석하여 신년회 모임을 가졌습니다. 3 file 2015-01-10
20 탄소나노튜브의 자기조립거동을 이용한 고강도 필름 개발 박종래 교수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의 액정성 거동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의 상변화가 임계농도 이상에서 제어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배향된 탄소나노튜브... 4 file 2015-01-14
» 서울대동창회보 442호 - "동문을 찾아서" 모교 기술지주회사 박종래 대표  - 전임 洪國善대표의 별세로 조금은 갑작스레 대표직을 맡게 되셨다고 들었습니다. 8개월가량 지났는데, 어떠신가요.  “여기 와서 일을 해보니 洪國善교수가 ... 9 2015-01-15
Board Pagination ‹ Prev 1 2 Next ›
/ 2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